티스토리 뷰
연산자
연산자란 값에 대해서 어떤 작업을 컴퓨터에게 지시하기 위한 기호 입니다.
예를 들어 '='는 대입연산자 입니다.
a = 1;
비교 연산자
비교 연산자는 주어진 값이 다른지, 큰지, 작은지를 구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'==' (동등 연산자)
좌항과 우항을 비교해서 서로 값이 같아면 true 다르다면 false를 출력 합니다.
'=' (대입연산자) 와는 다릅니다.
console.log( 1 == 2 ) //false
console.log( 1 == 1 ) //true
console.log( "one" == "two" ) //false
console.log( "one" == "one" ) //true
'===' (일치 연산자)
strict equal operator 라고도 합니다. 엄격하게 비교 연산을 한다는 뜻입니다.
alert(1=='1'); //true
alert(1==='1'); //false
일치 연산자를 써야하는 이유
console.log(null == undefined); //true
console.log(null === undefined); //false
console.log(true == 1); //true
console.log(true === 1); //false
console.log(true == '1'); //true
console.log(true === '1'); //false
'=='(동등 연산자)는 데이터 타입을 비교하지 않고 값만을 비교 합니다.
하지만 '===' 일치 연산자는 데이터 타입과 값이 일치해야 true 를 반환합니다.
부등호
"!=" :
부정을 의미한다. '같다'의 부정은 '같지 않다' 입니다.
console.log( 1 != 2 ); //true
console.log( 1 != 1 ); //false
console.log( "one" != "two" ); //true
console.log( "one" != "one" ); //false
"!==" :
부정을 의미한다. 정확하게 같지 않다는 의미 입니다.
">" :
좌항이 우항보다 크다면 '참' 입니다.
">=" :
좌항이 우항보다 크거나 같다면 '참' 입니다.
출처 : https://dorey.github.io/JavaScript-Equality-Table/
JS Comparison Table
=== (negated: !==) When using three equals signs for JavaScript equality testing, everything is as is. Nothing gets converted before being evaluated.
dorey.github.io
https://opentutorials.org/course/743/4722
비교 - 생활코딩
프로그래밍의 비교 기능은 이것만으로는 효용이 크지 않다. 후속 수업인 조건문에서 그 효용이 드러나기 때문에 조금 지루하더라도 조건문까지만 인내하자. 연산자 연산자란 값에 대해서 어떤
opentutorials.or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