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Cho's study 웹공부정리

메뉴보기
  • 분류 전체보기 (89)
    • Three.js (3)
      • 튜토리얼 (2)
    • 스마트웹 개발2021 (42)
      • UIUX 콘셉트 기획 (3)
      • 프로그래밍 언어활용 (39)
    • 생활코딩 (16)
      • 자바스크립트 (16)
    • 노마드코더 (20)
      • 자바스크립트 (20)
    • 프로그래머스 (4)
      • 코딩테스트 (4)
    • Vue.js (1)
      • 카카오맵 (0)
    • typescript (2)
흔적남기기
검색하기 폼

최근 글

댓글

태그

  • 자바스크립트 조건문
  • typescript-eslint
  • 자바스크립트 주석
  • 자바스크립트 실습환경
  • three.js
  • 자바스크립트 실행방법
  • 자바스크립트 반복문
  • 자바스크립트 숫자와 문자
  • 자바스크립트 변수

흔적

  • 다녀간 사람들
  • 오늘 온 분
  • 어제 온 분
공지사항
링크
«   2025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
Vue.js에 관한글 (1)
Vue js : Props

export default { props: ['foo'], setup(props) { console.log(props.foo) } } props.foo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rops 를 "명시적으로" 선언을 해야 한다. title => 정적으로 값이 전달된다. :title => 동적으로 값이 전달된다. export default { props: ['foo'], created() { // ❌ warning, props are readonly! this.foo = 'bar' } } props는 단방향 바인딩을 형성한다. 부모의 data 가 변경되면 자식 컴포넌트의 props.foo가 변경 되어야한다. 그이유는 자식컴포넌트가 부모 컴포넌트의 data 값을 변경하면 데이터 흐름을 이해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...

Vue.js
이전 1 다음
이전 다음

티스토리툴바